
턱관절질환 관련 두통 (TMD related HA)
턱관절 질환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두통을 의미합니다.
진단: 턱관절 질환이 있으며 두통과 인과관계에 대한 증거가 있어야 합니다.
증상: 턱관절 질환 발생 후 시작된 두통으로서 턱관절 질환이 악화되면 두통도 악화되고 턱관절 질환이 개선되면 두통도 개선됩니다. 턱이 움직일 때나 턱관절 관련 근육에 압력이 가해질 때 두통증상이 악화됩니다. 턱관절 질환 증상이 있는 쪽에 두통이 발생합니다. 최근 한달 내에 옆 머리에 두통이 있으며 턱의 움직임이나 이악물기, 이갈이 등에 의해 두통이 악화됩니다. 옆머리 근육을 누르거나 턱을 움직일 때 동일한 두통이 나타납니다.
원인: 턱관절 질환
치료법: 턱관절 치료, Botulinum type A 주사요법
편두통 (Migraine): 편두통은 여성과 남성이 약 3:1의 비율로 나타나며, 10대에서 40대까지 주로 관찰됩니다.
증상
-
전구증상: 편두통 환자 중 약 30%에서 나타나는데 편두통 발생 약 한시간에서 이틀 전에 발생하며, 불안감이나 우울감, 맛이나 냄새의 변화, 과식, 몸의 에너지 증가 또는 감소 등이 나타납니다.
-
전조증상: 편두통 발생 한시간 내에 약 5분 이상 발생하며, 눈이 어른거리거나 빛이 반짝이거나 빛에 예민해지는 시각장애, 얼굴이나 몸의 일부가 찌릿하거나 저리거나 감각이 둔해지는 감각장애, 허약감이나 말이 어눌해지는 운동장애 증상이 주로 편측으로 나타납니다.
-
주증상: 전조증상 이후에 나타나며, 4시간에서 3일간 지속될 수 있습니다. 박동성의 두통이 중등도 이상의 강도로 편측으로 나타나며, 걷거나 계단을 오르는 등 일상활동으로 두통이 악화됩니다. 속이 메스껍거나 구토감이 있고 빛이나 소리에 예민해집니다.
원인: 아직까지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는 않으나 다양한 요인에 의한 뇌혈관의 염증성 물질의 분비 및 확장 등이 주원인으로 제안되고 있습니다. 스트레스, 수면문제, 음식물(치즈, 쵸코렛, 바나나, 오렌지, 핫도그, 양파, 아이스크림 등), 날씨변화, 월경전후, 임신, 피임약복용, 음주, 향수, 강한 빛, 특정약물 등이 편두통 유발요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.
치료법: 트리거 요인의 회피 및 약물요법이 있습니다.
약물요법으로 Tryptan, Ergotamine, Beta-blocker, Anticonvulsant, TrIcyclic-antidepressant, Calcium channel blocker 등이 사용됩니다. Botulinum type A 주사요법은 만성편두통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미국FDA 승인 하에 그 사용이 증가되고 있습니다.
긴장성두통 (Tension type headache): 긴장성 두통은 남녀 모두에게서 비슷하게 나타납니다.
증상: 30분에서 일주일 정도 지속되며, 경도에서 중등도의 누르거나 조이는 듯한 느낌의 두통이 모자를 쓴 것처럼 앞머리에서 뒷머리까지 양측으로 나타납니다. 빛이나 소리에 예민해질 수 있으나 구토나 메스꺼움 증상은 없습니다.
원인: 아직까지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는 않으나 스트레스, 불안감, 우울감 등 정서적인 요인이나 근육과의 관계가 주원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.
치료법: 인지행동요법과 약물요법이 있습니다.
약물요법으로 진통제, NSAIDs, TCA, SSRI, SNRI 등이 사용되며, Botulinum type A 주사요법이 제안되기도 합니다.
수면이갈이 (sleep bruxism)
주로 수면 중 반복적인 턱근육의 운동으로서 이를 악물거나 이를 갈거나 합니다. 이것은 주간에 의식이 깨어있는 중에 나타나기도 하는데 90%이상의 환자는 자신이 이를 악물거나 갈고 있다는 것을 모릅니다.
증상: 치아의 마모 및 손상, 구강연조직 손상, 턱근육 통증, 턱관절 통증 등이 있습니다.
대부분의 수면이갈이는 꿈을 꾸지 않는 non-REM 수면 중 일어나며 제1-2단계의 얕은 수면에서 주로 발생합니다. 연구에 따르면 자율신경계의 활성화로 인한 심장박동수 증가, 짧은 수면중 각성, 알파/델타 뇌파 증가, 이갈이 관련 턱근육 긴장의 사건이 순차적으로 일어납니다.
진단: 구강검사, 진단모형검사, 측두하악장애검사
원인: 주간이악물기 또는 주간 이갈이는 뇌기저핵의 변연계와 관련이 있다는 보고가 있습니다. 따라서 원인은 주로 스트레스나 불안감에 의한 것으로 제안되며 인구의 약 20%에서 나타납니다. 야간이갈이는 수면 중 주관적인 이갈이 소리로 파악되며 성인의 약 10%, 어린이의 약 20%, 노년층의 약 3%에서 나타납니다. 기여요인으로는 흡연, 커피, 약물, 수면장애관련 호흡, 불안감, 유전적 소인 등이 있으며, 치아의 교합관계는 이갈이와 특별한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.
치료법: 안정화장치요법, 인지행동요법, Botulinum type A 주사요법
코골이 (snoring) 및 수면무호흡(sleep-apnea)
코골이: 수면 중 기도를 구성하는 입천장의 후방부 연조직부위, 편도, 목젖, 혀 등이 그 위치를 지지해주던 주변근육의 이완으로 인해 늘어지고 기도부위가 좁아져 호흡시 공기흐름이 이를 진동시키게 되면서 코골이가 나타납니다.
수면무호흡: 수면 중 기도주위 구조물이나 근육의 이완으로 공기통로가 일시적으로 막혀서 10초 이상 숨을 쉬지 못하는 현상을 말합니다.
증상: 주간 졸림증, 피로감이 흔한 증상이며, 수면무호흡증이 장기간 지속될 경우 고혈압, 부정맥, 심근경색증 등 심혈관계 질환이 일반인의 8배 이상 증가한다는 보고가 있습니다.
진단: 두경부 X-ray, Lateral PA, 코골이, 수면무호흡증에 대한 설문 분석, 목 부위 검진, 비만도 및 혈압측정, 수면다원검사
치료법: 행동요법, 양압기(CPAP), 장치(MAD), 수술요법 등이 있습니다.
-
행동요법 - 옆으로 자기, 음주 및 흡연 금지, 비만해소, 규칙적인 운동
-
양압기- CPAP이 수면무호흡에는 가장 좋은 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나 사용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.
-
장치사용 - MAD 이것은 심각한 심혈관계 질환이 없는 경도에서 중등도의 수면무호흡증 환자에 사용하며, 수면 중 CPAP 착용을 어려워하는 환자, 수술로 치료하기 어려운 환자 및 코골이 환자에게서 효과를 나타내고 있습니다.
-
수술요법 - 인후부 연조직을 절제하거나 상하악을 전진시켜 기도를 확보하는 수술요법이 있습니다.
두통·편두통
이갈이·코골이·수면무호흡
